개요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은 기도의 만성 염증 반응과 폐실질 파괴로 폐기능이 점차 감소하는 폐질환입니다. 폐기종(emphysema), 즉 폐포의 가스 교환 파괴는 임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용어이지만 병리학적 용어이며, COPD 환자가 가진 여러 개의 구조적 이상 중에서 단지 한 가지만 대변합니다. 만성 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은 연속되는 2년 동안 최소 3개월 이상 기침과 가래가 있는 경우로 역시 COPD와 혼동하여 임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하지만 이 병은 COPD와 전혀 별개의 질환으로 기류 제한 전에 시작하거나 기류 제한에 뒤따라 발생하기도 하며, 고착된 기도 제한의 진행과 악화에 영향을 주기..
개요 천식은 만성 기도 염증, 가변적인 호기 시 기류 제한 및 쌕쌕거림(천명음), 호흡곤란, 흉부 압박감 및 기침 등의 특징적인 호흡기 증상이 반복되는 기도 폐쇄 증후군입니다. 만성 기도 염증은 기도 과민성과 관련되며 아토피와 같은 유전적 요인, 바이러스, 알레르기 항원, 직업적 노출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기류 제한은 가변적이고 대부분 치료에 의해서 회복이 되나 자연적으로 회복될 수도 있습니다. 만성 기도 염증으로 인해 기도의 구조적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기도개형(airway remodeling)이라 하며 비가역적인 기류 제한을 유발합니다. 반복적인 증상, 기류 제한, 기도 과민성, 만성 염증 등의 상호 작용으로 천식의 임상증상과 중증도, 치료에 대한 반응이 결정됩니다. 원인 병태..
개요 기흉이란 흉막강에 공기가 존재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기흉은 이전의 외상이나 다른 명백한 원인 없이 생기는 자발 기흉과 흉부에 직접, 간접적인 외상으로 생긴 외상성 기흉으로 분류됩니다. 외상성 기흉은 치료 및 진단적 조치의 결과로 생길 수 있는 의인성 기흉을 포함합니다. 자발 기흉은 1차성과 2차성으로 다시 분류되는데 1차성 자발 기흉은 기저 폐질환을 가지지 않은 건강한 사람에게서 발생합니다. 2차성 자발 기흉은 기저 폐질환과 복합되는데 가장 흔한 폐질환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입니다. 정상적으로 흉막강의 압력은 호흡주기 내내 폐포 내 압력에 비해 낮은 상태입니다. 자연스러운 호흡을 하는 동안 흉막강 압력 역시 대기압에 비해 낮은 상태입니다. 기흉의 주요 생리적 결과는 폐활량의 감소와 동맥혈 ..
개요 흉막액(가슴막액)은 주로 벽측 흉막에 있는 모세혈관으로부터 흉막강으로 유입되며 벽측 흉막 표면의 림프절을 따라 흡수되어 흉강은 거의 말라있는 상태로 유지됩니다. 정상적으로 흉강 내에는 25ml의 흉막액이 존재합니다. 흉수(가슴막 삼출액)가 발견된다면 흉강 내에 비정상적인 액체가 고였음을 의미합니다. 림프절은 정상적으로 형성되는 흉막액의 약 20배 정도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흉막액은 흉수가 벽측 흉막, 폐의 간질, 복강으로부터 과다 생성되거나 림프절을 통한 흡수가 감소될 때 생깁니다. 흉막 유출은 누출(transudate)과 삼출(exudate)로 나눕니다. 전자는 수압과 삼투압의 차이 때문에 발생하며 후자는 늑막과 폐의 염증 때문이거나(모세혈관과 늑막의 투과성 증가) 흉..
개요 1) 정의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제3군 법정 전염병에 속합니다. 2) 원인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orthomyxovirus과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 핵산의 구성에 따라 A, B, C형으로 분류됩니다.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표면항원인 hemagglutinin (HA)과 neuraminidase (NA)에 의해서 아형(subtype)이 결정됩니다. HA는 바이러스가 호흡기 세포에 부착되도록 하며 16가지 아형(H1-H16)이 있고, NA는 감염된 세포에서 바이러스가 방출되어 전파되도록 하며 9가지 아형(N1-N9)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세가지 HA(H1, H2, H3)와 두가지 NA(N1, N2) 아형이 사람에서 유행하는 A형 인플루엔자의 주원..
개요 급성 인두편도염은 인두염과 편도염을 포함한 인두의 급성 감염성 질환을 의미합니다. 급성 인두편도염은 일차진료에서 흔히 보는 질환 중의 하나로 계절적으로는 늦겨울에서 이른 봄까지, 연령적으로는 4-7세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며, 1세 이하에서는 드뭅니다. 인두통의 원인으로 가장 흔한 형태는 바이러스성 인두편도염으로 아데노 바이러스, 콕사키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EBV 등이 원인입니다. 세균성 원인으로는 A군 베타 용혈 사슬알균(Group A beta-hemolytic streptococcus, GABHS)이 가장 흔하며 성인에서는 5-15%, 소아에서는 15-30%를 차지하며 3세 미만의 소아에서는 GABHS 감염은 매우 드뭅니다. 이 외에 인플루엔자균, 임균, 디프..
개요 전립선은 남성에서만 방광 바로 밑에 존재하며 정액 성분의 일부를 생성, 분비하는 기관입니다. 정상적인 크기는 20g이나 연령의 증가와 함께 전립선의 크기도 증가하여 60세가 되면 미국은 35g, 우리나라는 평균 30g이 됩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빈도가 증가하여 50대의 약 40%에서 전립선 비대증이 있으며 60대에서 60%, 80대에서는 90% 정도에서 전립선 비대가 있습니다. 전립선 비대는 호르몬 인자, 성장인자, 기질-상피 상호작용, 노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전립선의 정상적인 발달에는 남성 호르몬이 필요하기 때문에 테스토스테론과 전립선 성장 사이에는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양성 전립선 비대증(benign prostate hypertrophy, BPH)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개요 치핵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항문 점막하 층에 위치한 혈관과 평활근의 덩어리가 비정상적으로 발달하여 심한 불편감을 초래하는 질병입니다. 항문의 치상선을 중심으로 상방의 상, 중치동맥 분지인 내치혈관총(internal hemorrhoidal plexus)에서 생기는 내치핵(internal hemorrhoid)과, 하방의 하치동맥 분지인 외치혈관총(external hemorrhoidal plexus)에서 생기는 외치핵(external hemorrhoid), 그리고 이 두가지가 혼합해 존재하는 혼합형 치핵(mixed hemorrhoids)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항문관 내에는 점막하 정맥총 및 결체조직, 평활근, 탄력섬유를 함유한 점막하 근육으로 불리는 충격완화조직(cushion, 쿠션)이 있습니다. ..
- Total
- Today
- Yesterday
- 셀레늄
- 피토케미칼
- 호모시스테인
- 엘라그산
- 오메가3
- 파이토케미컬
- 감마리놀렌산효능
- 글루코시놀레이트
- cetp단백질
- 폴리페놀
- 식이섬유
- 불포화지방산
- 베타카로틴
- 비타민C
- 파이토케미칼
- 식물성에스트로겐
- 에스트로겐
- 리그난
- 베타인
- 안토시아닌
- 갱년기
- 폴리코사놀
- 퀘르세틴
- 폴리코사놀효능
- 피토케미컬
- 베타글루칸
- 셀레늄풍부한식품
- 셀레늄효능
- 비타민A
- cetp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